우리나라 출산율과 사회안전망 근황.jpg
작성자 정보
- 케즈s 작성
- 작성일
본문
건강보험


26년부터 적자 전환 예상. 적자 전환 후 3년 만에 적자 폭 5배로 증가
2032년 누적 적립금 적자 61조 6천억원 예상
현재 건보료율 법정 상한이 8%인데 이미 인상이 거론되는 중이며, 사실 몇% 인상한다 해도 근본적인 해결은 불가함
2040년대에는 재정 적자가 600조를 넘어서는데 이는 우리나라 1년 국가 예산을 초과하는 수준입니다.
국민연금

2054년 기금 고갈 예상. 이대로 가면 연금 보험료율이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
문제는 이 재정추계도 미래에 출산율이 반등해 2030년 0.96명, 2046년 이후 1.21명으로 회복된다는 가정에 근거함
출산율 반등 희망회로 근거: ①1991~1995년 출생 2차 에코세대 결혼적령기 돌입 ②코로나19로 연기된 혼인건수 회복
공무원연금

2025년 공무원연금에 투입해야 하는 국가보전금이 역대 최대 규모인 10조원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
참고로 4년 전 국회예산정책처는 2045년에 국가보전금이 10조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출산율

인구구조

2024년 인구구조

2050년 인구구조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