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출산율과 사회안전망 근황.jpg

작성자 정보

  • 케즈s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건강보험

d3542b02980884fa2d414fdf4071132c.jpg
8a7ee3ee375340e8a8fa6ae98ba30d48.jpg

26년부터 적자 전환 예상. 적자 전환 후 3년 만에 적자 폭 5배로 증가

2032년 누적 적립금 적자 61조 6천억원 예상

현재 건보료율 법정 상한이 8%인데 이미 인상이 거론되는 중이며, 사실 몇% 인상한다 해도 근본적인 해결은 불가함

2040년대에는 재정 적자가 600조를 넘어서는데 이는 우리나라 1년 국가 예산을 초과하는 수준입니다.

국민연금

6dab12ef43ba8fedc2911bedc3e375a9.png

2054년 기금 고갈 예상. 이대로 가면 연금 보험료율이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

문제는 이 재정추계도 미래에 출산율이 반등해 2030년 0.96명, 2046년 이후 1.21명으로 회복된다는 가정에 근거함

출산율 반등 희망회로 근거: ①1991~1995년 출생 2차 에코세대 결혼적령기 돌입 ②코로나19로 연기된 혼인건수 회복

공무원연금

9159fbe4d64e283af736cf2ba4018268.jpg

2025년 공무원연금에 투입해야 하는 국가보전금이 역대 최대 규모인 10조원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

참고로 4년 전 국회예산정책처는 2045년에 국가보전금이 10조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출산율

a63dde227bbc873c270a1ac33c7bd4f0.png

인구구조

29450aeaec0659197114263ad01684b5.png

2024년 인구구조

3878c32db390a76ae7f67fd5eae6e5a9.png

2050년 인구구조

63bb97d0e80c43d510f08bb4498a1f3c.webp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