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에 손익분기점을 돌파한 한국영화
작성자 정보
- GDOSF 작성
- 작성일
본문
2024년도 역시 영화관은 꽤나 힘들었지만, 가뭄에 단비같이 흥행한 영화들도 존재하는 법
0. 시민덕희
손익분기점: 150만~180만
누적 관객수: 171만
이 영화는 넘겼다는 얘기도 있지만 좀 애매함. 초반 기사에서는 분명 160만이 손익분기점이다라고 나왔지만 추후에 상향되어 180만까지 올라갔기 때문인데, 180만으로 볼 경우 실질적으로 못 넘긴 작품이 맞지만 2차 시장으로 인해 충분히 손해를 만회하고도 남았을 작품이라 0번으로 서술해보았음
1. 건국전쟁
손익분기점: 9억
누적 관객수: 100만
총 제작비 3억으로 누적 관객수 100만을 돌파한 작품이다. 2024년 의외의 흥행 1.
2. 소풍
손익분기점: 27만
누적 관객수: 35만
총 관객수 자체는 적게 들었지만 영화 자체의 손익이 낮아서 그런지 성공은 했다.
3. 파묘
손익분기점: 350만
누적관객수: 1191만
2024년 의외의 흥행 2. 영화의 퀄리티 문제라기보단 오컬트 호러 영화 최초의 천만이기 때문인데, 장재현 감독도 이 정도로 흥할거라곤 생각 못했을 듯 싶다. 특히 후반부 불호평 생각하면 더더욱
4. 범죄도시4
손익분기점: 350만
누적 관객수: 1150만
어차피 손익 넘기는거야 기정사실이었고, 또 천만을 가나 마나로 얘기 나왔는데 기어코 또 넘겼다
2025년에는 범죄도시 시리즈가 개봉 안하는데 그래서 내년엔 파묘같은 예외가 아닌 이상은 천만 영화 나오긴 그른 거 같음
5. 그녀가 죽었다
손익분기점: 110만~120만 or 125만
누적 관객수: 123만
원래 손익분기점은 125만으로 알려졌지만, 부가 수익을 생각하면 이미 넘겼다고 간주한다는 기사도 나왔으며 또한 투자자 기준 BEP는 110~120만이니 애매한 시민덕희와 달리 확실히 성공이 맞음
영화 필모에선 죽을 쑤던 신혜선의 첫 번째 성공작
6. 핸섬가이즈
손익분기점: 110만
누적 관객수: 175만
B급 호러 코미디로 굉장히 이례적인 성공인데, 첫주차부터 토요일보다 일요일 관객수가 높은 현상이 나오며 장기 흥행의 가능성이 예측되기도 했음
무려 2020년에 촬영을 끝내 4년만에 개봉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입소문으로 성공했으니 꽤 기념비적인 작품임
7. 탈주
손익분기점: 200만
누적 관객수: 256만
7월 초에 개봉해 입지를 굳히며 쏠쏠히 흥행함
구교환 이제훈 두 배우의 파워도 있었을수도?
8. 파일럿
손익분기점: 220만
누적 관객수: 471만
역시 7월 말~8월 초 이 시기는 아무리 망해도 한 작품 정도는 살아남는 시기
평가 자체는 결코 좋지 않음에도 조정석의 원맨쇼로 손익분기점의 두 배 이상을 기록. 올해 유일한 400만대 영화
9. 사랑의 하츄핑
손익분기점: 50만
누적 관객수: 123만
신 츄 핑
10. 베테랑2
손익분기점: 400만
누적 관객수: 750만
2년 전 공조2처럼 추석 연휴 경쟁작 없이 혼자 독주함
천만 영화의 후속작이라 이번 작도 당연히 천만을 기대했겠지만, 평가가 썩 좋지는 않아 700만에 만족을
11. 소방관
손익분기점: 250만
누적 관객수: 259만(~ing)
올해 의외의 흥행 3. 그도 그럴 게 이 영화는 핸섬가이즈 이상으로 오래 묵힌 영화인데다 곽도원의 음주운전 논란 등으로 인해 감독이나 제작사에서도 반쯤 포기한 작품임
근데 성공함(?)
악재란 악재는 다 붙었음에도 불구하고 1주차와 2주차 관객수에 큰 차이가 없더니 경쟁작인 1승, 대가족, 무파사 다 이기고 계속해서 1위를 유지하는데 심지어 평일 관객수는 꾸준히 8만명씩 기록
이대로면 300만 그 이상도 가능함. 말이 300만이지 올해 300만을 넘긴 한국 영화가 파묘/범죄도시4/파일럿/베테랑2 이 네 작품이 전부임
번외. 하이재킹
손익분기점: 230만
누적 관객수: 177만
하정우가 최화정 유튜브에 출연하여 손익분기점을 넘겼다고 언급.
그리고 올해 마지막으로 손익분기점을 넘길 것으로 기대되는 영화는 하얼빈이 있음
750만에서 650만으로 줄었다는데, 여전히 높긴 함
예매율 추이 자체는 나쁘지 않은 편이지만 영화 자체가 좀 정적이라는 얘기도 있어 걱정임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