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학교의 가장 영예로운 기록

작성자 정보

  • 아브레일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장애인 차별.jfif.ren.jpg 서강대학교의 가장 영예로운 기록

장애를 이유로 사람을 차별해서는 안 되는 일이지만,

그런 의식이 희미했던 1970년대의 대한민국에는
공공연히 장애인을 차별하곤 했다.













소아마비.jpg 서강대학교의 가장 영예로운 기록

장영희 양은 그러한 대한민국에서,

소아마비로 인해 두 다리와
오른손을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서
자라나 교육을 받아야만 했다.

중학교마저 체력장 점수를 모두 포기한 채
오로지 필기점수를 통해서만 합격할 수 있었지만,

고등학교를 졸업한 1971년에는
더 큰 시련이 그녀를 기다리고 있었다.










서울대학교.jpg 서강대학교의 가장 영예로운 기록

안 돼!!!


당시 대한민국의 수많은 대학들이
장애인에게 입학시험 응시 자격을 주지 않아서
공부를 아무리 잘 해도 갈 수가 없던 것이다.

심지어 아버지가 서울대학교 영문학 교수인 장왕록 박사였고,
아버지의 절친인 총장에게 시험을 보게 해 달라고 사정했지만

'여러 교수들이 찬성하지 않을 것'이라며 거부당했다.















신부 일러스트.jpg.ren.jpg 서강대학교의 가장 영예로운 기록

그렇게 시험을 볼 수 있는 학교를 찾아다니던 부녀는
서강대학교 영문학과의 학과장이었던
브루닝 신부를 찾아가게 된다.


(*서강대학교는 예수회가 1960년에 설립한 학교이기에
초기에는 예수회 신부님들이 교수직 등의 중책을 맡았다)

아버지는 똑같이 딸의 사정을 설명하며
입학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간청했는데...




















신부 일러스트.jpg.ren.jpg 서강대학교의 가장 영예로운 기록

무슨 그런 이상한 질문이 있습니까?
당연히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시험을 머리로 보지 다리로 봅니까?


당시 브루닝 신부는 이게 무슨 말인가 싶었는지
'경악하는 눈빛'으로 말했다고 한다.

그렇게 제롬 브루닉 신부의 예외적인 허락으로
장영희는 서강대학교 영문학 학/석사를 받을 수 있었다.











장영희.jfif.ren.jpg 서강대학교의 가장 영예로운 기록

아버지는 그 때를 떠올리시며
신부님이 아버지를 '정신나간 바보'처럼 봤다고 하셨어요.

하지만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바보였다고도 하셨어요.


그렇게 제롬 브루닉 신부의 허락으로
장영희는 서강대학교 영문학 학/석사를 받았고,

이후에는 모교인 서강대로 돌아와
2009년, 간암으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후배들을 가르치는 훌륭한 교수가 되었다.












서강대학교.jpg 서강대학교의 가장 영예로운 기록
참고로 장애학생의 고입 체력장 점수는 1972년에 면제되고,
1976년에는 장애를 이유로 불합격했던 소아마비 학생들이
대통령의 지시로 대거 합격되는 일도 있었답니다!


그리고 서강대학교는 국내대학 최초로
장애인의 입학을 허용한 대학교라는
영예로운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끝-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